
얼마가 있어야지 회사를 그만둘 수 있을까요?
10억정도 있으면 충분할까요?
접근방법이 틀린 것 같습니다.
회사를 그만 둘 때 일시금 10억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매달 고정적인 현금흐름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러면 현금흐름은 얼마나 필요하고, 어떻게 만들까요?
이번 포스트는 월급없이 경제적자유를 이루는
그 현금흐름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썼습니다.
퇴직을 고민하시는 분이 읽으시면 도움이 될거에요.
목 차
1. 얼마가 있어야 회사를 그만둘 수 있을까?
2. 현금흐름 만드는 방법
3. 파이어 이후의 삶은 행복할까?
포스트를 시작하기 전에
퇴직소득세 계산을 쉽게 하는 방법이 있어요.
아래 블로그를 한 번 읽어보세요.
https://dotsnlines.tistory.com/1167
세상에서 가장 쉬운 퇴직소득세 1초만에 계산하는 방법
소득이 있는 곳에 세금이 있다. 몸담고 있는 회사를 떠날때 받는 퇴직금도 세금이 있다. 이 글은 근속연수에 따른 퇴직소득세 계산법을 쉽게 알려주고 내 퇴직금의 세금이 얼마인지 쉽게 확인할
dotsnlines.tistory.com
1. 얼마가 있어야 회사를 그만둘 수 있을까?
우리나라 국민은 은퇴 후 노후에 한 달 약 370만원의 생활비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대략 매월 400만원은 있어야지 그나마 사람답게 산다는 얘기 같은데, 저는 얼마가 필요할지 생각해 봤습니다.
- 생활비(관리비, 식비, 통신비, 교통비 등) : 월 200만원
- 해외여행 : 연 500만원
- 외식비 : 월 30만원
- 여가비(캠핑, 술자리, 국내여행 등) : 월 50만원
- 그외 기타 잡비 : 월 50만원
일단 자녀에게 들어가는 돈이 따로 없다고 가정하고 월 372만원 정도 드네요.
역시 사람답게 산다면 (애들에게 쓰는 돈 제외하고) 약 400만원 정도가 필요한게 맞네요.
그럼 월 400만원의 현금흐름을 어떻게 만들면 될까요?
2. 현금흐름 만드는 방법
1) 월세투자
매월 따박따박 들어오는 월세는 정말 매력적이죠.
그런데 과연 월세가 가성비가 좋은 투자방법일까요?
우선 월세 400만원을 받는다고 가정했을 때 5%의 수익률을 감안하면 9억 6천만원의 부동산이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각종 부대비용(복비, 재산세 등)을 감안하면 수익률이 더 떨어지죠.
더구나 세입자에 따라서 도배나 수리비용이 발생하고, 건물이 노후되면 인테리어 비용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거기에다 세입자와의 관계가 좋을 수 많은 없죠.
아무래도 불화가 있을 수도 있으니 그 스트레스 비용까지 감안한다면 저에게는 월세가 괜찮은 투자수단이 아닌 것 같습니다.
2) 예금이자
나이가 들수록 사람은 안정적인 삶을 원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회사선배들을 보더라도 은퇴가 가까우신 분들은 대부분 예금을 추천하시더라구요.

현재 2.2% ~ 3.15%의 이자를 고려 했을 때 월 400만원이 나오려면 얼마나 필요할까요?
예금금리 | 예금금액 | 예금금액(세금고려) |
3.15% | 15억 2천만원 | 18억원 |
2.2% | 21억 8천만원 | 25억 8천만원 |
이자소득세를 고려했을 때 2.2% 이자 기준으로 최소 25억 8천만원이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이자 소득이 1년에 2천만원을 넘기 때문에 종합소득세와 건보료까지 생각하면
이 보다 더 많은 금액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매년 물가상승률은 은행이자보다 더 높은거 아시죠?
지금의 400만원이 10년 후 300만원이나 그 이하의 가치가 될 수도 있습니다.
결국, 이것도 생각보다 가성비가 떨어지네요.
3) 배당금
저는 배당금으로 노후를 준비하기로 길을 정했습니다.
(1) 배당성장주에 투자하면
저는 SCHD(또는 미국배당다우존스ETF) 위주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SCHD는 연 배당률이 3.5% ~ 4.5% 가량 됩니다.

연도별 배당금을 살펴보면 2013년에 주당 $0.96였던 배당금이 2023년도에 $2.66로 증가했습니다.
매년 배당이 10.8% 증가한 셈입니다.
이 말은 SCHD를 배당률 3.5%에 매수하면 7년 후에는 7%의 배당을 받을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예를들어 5억을 SCHD에 투자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배당은 연 배당은 1억7천5백만원 정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월 145만원 정도 나오네요.
그런데 아무것도 안 하고 보유만 해도 7년 후에는 배당이 2배로 늘어납니다.
월 3백만원 정도의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5억으로 매월 3백만원이면 가성비 있는 투자라고 생각합니다.
(2) 자산도 함께 늘어난다.

SCHD의 주가는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SCHD의 연평균 복리 수익률도 (배당금 포함) 10%가 넘습니다.
5억을 투자하면 7년 후에는 자산이 2배로 불어나서 10억이 될 수 있습니다.
아무것도 안 해도 자산과 배당이 늘어나서 오래 살 수록 점점 더 부자가 되는 시스템인거죠.
워런버핏이 왜 부자가 된지 아시나요?
복리를 최대한 활용해서 90살이 넘도록 오래 살았기 때문이죠.
3. 파이어 이후의 삶은 행복할까?
네이버 은퇴카페를 가입했는데 의외로 많은 분들이 은퇴 후 소일거리를 하고 싶어 하시더라구요.
사람은 일을 해야 삶이 가치있어 진다고 어느 정도는 일리있는 말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출퇴근 시간이 3시간 가까이 되고, 일에 스트레스를 받으며 직장생활을 하기는 싫습니다.
좀 더 여유로운 생활을 하면서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고 싶어요.
지금 하고 있는 일은 오로지 돈을 위해서 내 시간을 교환하고 있습니다.
눈이 오거나 비가와도 출근을 해야 하고, 폭설에도 목숨을 걸고 출장을 가야 합니다.
이렇게는 계속 살기는 싫어요.
고정적으로 배당이 어느정도 들어오면, 굳이 돈을 벌려고 노력하지 않고,
돈이 안 되더라도 즐거운 일을 하면서 살 수 있지 않을까요?
이렇게 블로그를 쓰는 일 처럼요.^^
2025.01.14 - [돈을 벌기 위한 자료/개인연금과 퇴직 그리고 절세] - 2024년 연금저축 수익(상위 1% 연금자산)
2024년 연금저축 수익(상위 1% 연금자산)
대부분의 사람들은 투자를 할 때 확률을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 복권이나 코인같은 확률이 낮아도 수익률이 높은 상품이 매력적으로 보이나 보다. 나는 투자를 할 때 항상 확률을 가장 먼저
dotsnlines.tistory.com
'돈을 벌기 위한 자료 > 은퇴준비 완벽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그래서 어떻게 투자하면 되나요? (21) | 2024.09.02 |
---|---|
11. 서민은 부동산으로 돈 벌기 힘들지. (8) | 2024.08.30 |
10. 금을 투자하라고? 개소리는 접어 두시길... (6) | 2024.08.28 |
9. 자산을 분배하면 효과가 있을까? (2) | 2024.08.26 |
8. 종자돈 모으기의 정석 (2) | 2024.08.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