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P 안전자산 30%는 어떤 것을 사야 할까?
본문 바로가기
돈을 벌기 위한 자료/개인연금과 퇴직 그리고 절세

IRP 안전자산 30%는 어떤 것을 사야 할까?

by 대충살아볼까 2025. 2. 2.

 

 
 
IRP 안전자산은 아픈 손가락 같은 존재다. 
 
내 자산 모두가 수익이 나고 있는데 
 
IRP 안전자산만 매번 수익률을 갈가먹고 있다.
 
그래서 정리해 봤다.

 

목  차 

 
1. IRP 안전자산 30% 투자 가능 자산
2. 배당 12% 주는 한국형 TLTW는 괜찮을까?
3. 그럼 어떤 상품으로 IRP 안전자산을 채워야 하나?

 
 

포스트를 시작하기 전에
 
개인연금자산 상위 1%의 수익이 궁금하지 않으세요?
 
궁금하시면 아래 포스트도 읽어 보세요.
 

2025.01.14 - [돈을 벌기 위한 자료/개인연금과 퇴직 그리고 절세] - 2024년 연금저축 수익(상위 1% 연금자산)

 

2024년 연금저축 수익(상위 1% 연금자산)

대부분의 사람들은 투자를 할 때 확률을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 복권이나 코인같은 확률이 낮아도 수익률이 높은 상품이 매력적으로 보이나 보다. 나는 투자를 할 때 항상 확률을 가장 먼저

dotsnlines.tistory.com

 


 

1. IRP 안전자산 30% 투자 가능 자산

 
연금저축펀드와는 다르게 IRP는 안전자산의 비중을 30% 이상 유지해야 한다.
 
아마도 퇴직금을 다 날려 버릴까봐 걱정되는 나라에서 만든 제도인 것 같은데,
 
내 계좌에서 유일하게 손실이 나는 것이 IRP의 안전자산이니 참 아이러니 하다.
 

IRP 안전자산  IRP 안전자산이 아닌 것 IRP에서 투자할 수 없는 자산
- 원리금보장상품(정기예금, ELB, RP, GIC)
- 채권 비중이 50% 이하인 ETF
- 채권형 ETF
- TDF
- 100% 주식형 ETF
- 채권혼합형 ETF 중 채권비중이 50%를 초과하는 것
- 레버러지, 인버스, 미국채선물 ETF 등
- 개별주
- 해외상장 ETF

 
너무 다양한 상품이 많아서 일일이 다 설명하기는 어렵고
 
쉽게 정리하자면
 
1. 개별주식, 레버리지, 인버스, 국채선물, 해외상장 ETF는 IRP에서 투자 자체가 안 된다.
2. 채권은 비중이 50% 초과인 ETF는 안전자산
3. TDF는 안전자산
4. 예금, 적금, RP 등 원리금 보장상품은 안전자산
 
이정도만 기억하면 될 것 같다.
 

2. 배당 12% 주는 한국형 TLTW는 괜찮을까?

TLT

우선 TLTW를 얘기하기 전에 TLT부터 얘기해 보자.
 
TLT는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의 티커네임(우리나라는 종목번호)로 
 
미국의 20년 이상 장기채권에 투자하는 ETF이다.
 
통상 채권은 주식과 반대로 움직인다.
 
주가가 올라가면 채권가격은 떨어지고 반대로 주가가 떨어질 때는 채권가격이 올라간다.
 
이렇게 자산에서 주가 리스크를 보완해주며, 만기까지 보유하면 원리금이 보장되니 채권은 안전자산이라고 한다.
 
하지만, 사실상 채권의 장기 수익률은 시장수익률을 넘지 못하고,
 
채권가격이 떨어지면 손해를 볼 수 있으니 내 기준에서는 안전자산이 아니다.
 

TLTW

TLT를 기준으로 한 커버드콜 상품이 TLTW다.
 
커버드콜은 쉽게 말해서 배당을 많이 주고, 주가가 횡보할 때 좋은 상품이다.
 
그런데 주가가 많이 오르거나 많이 떨어지면 손해를 보는 상품이다.
 
배당을 얼마나 많이 주냐하면 연 10% 이상씩 준다.
 
이렇게 좋은 TLTW는 IRP에 투자할 수 없다.
 
미국상장 ETF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걱정할 필요 없다. 우리가 누군가? 
 
이렇게 좋은 상품을 그대로 만들어서 한국에서 상장한 ETF가 있다. 더구나 월배당 상품이다.

국내상장 TLTW

 
 
그럼 IRP에서 이러한 ETF에 투자하면 매월 배당을 따박 따박 받고 부자가 될 일만 남지 않았다고 생각하는가?
 
틀렸다.
 
이 상품들은 내 기준에서 쓰레기다.
 
나도 하도 배당을 많이주고, 배당으로 은퇴한 유튜버가 광고하길래 몇 개월 투자해 봤다.
 
결론은 손해가 막심했다. 배당주는 만큼 주가는 빠져 버렸다.
 
지금 주위에서 커버드콜 얘기하면 도시락 싸고 따라 다니면서 말리고 있다.
 
미디어에 속지 말기를 바란다.
 
 

3. 그럼 어떤 상품으로 IRP 안전자산을 채워야 하나?

 
사실 나도 어떠한 상품으로 IRP 안전자산을 채워야 하는지 아직까지 정확히 모르겠다.
 
연금저축과 같이 100% 주식형 ETF에 투자할 수 있다면 한국형 SCHD를 사서 잊어버리겠는데
 
이 30%룰은 내 자산을 갈가먹고 있다.
 
그래도 어쩔 수 있나? 내가 정부를 이길 수 없잖아.
 
그래서 생각해 낸 2가지 방법이 있다.
 

1) RP, 예금

RP는 조건환매부 채권으로 쉽게 말해서 단기간 맡겨서 이자를 얻는 상품이다.
 
파이썬으로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자산분배를 백테스트 한 적이 있다.
 
현금과 주식으로 자산분배를 하더라도 수익률이 괜찮게 나왔다.
 
아마도 RP가 예금보다 이자를 더 줄 것이다.
 
이건 각자 알아보고 투자하도록 하시라.
 
 

2) 주식혼합형 ETF

 
아무래도 예금, RP는 절대 물가상승률 이상으로 이자를 주지 않는다.
 
그러면 금융사가 망하니깐 절대 손해보는 짓은 하지 않을것 아닌가?
 
우리의 목표는 무엇인가?
 
시장금리(물가상승률) 보다는 높으면서 안전한 수익을 원하는 것 아닌가?
 
그래서 채권혼합형 상품도 괜찮은 것 같다.
 

나스닥 채권혼합

 
나스닥은 변동성이 크지만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연 복리수익률이 높다.
 
이러한 장점을 활용해서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한국형 QQQ와
 
채권을 혼합해서 사면 수익률이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실제로 백테스트를 해 보면 CAGR은 조금 떨어지는 반면 MDD 또한 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내가 찾은 ETF는 아래와 같은 것 들이 있다.
 
TIGER 미국나스닥 100TR채권혼합Fn
ACE 미국나스닥100채권혼합액티브
 
요즘에 워낙 나스닥이 좋아서 이 상품을 산 사람들은 수익률이 괜찮았을 것이다.

 
 
미국 테크기업과 채권혼합
 

나스닥100지수 말고도 개별 테크기업이나 상위 10개 기업에 투자한 상품도 있다.
 
SOL 미국TOP5채권혼합40Solactie
PLUS 애플채권혼합
TIGER 테슬라채권혼합Fn
ACE 엔비디아채권혼합블룸버그
RISE 비국빅데이이터 Top3채권혼합
TIGER 미국테크 TOP 10채권혼합
 
나는 새가슴이라 종목이 20개 이하인 ETF에는 투자하지 않지만,
 
본인 취향에 따라 고수익을 추구한다면 분석해서 시도해 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개인연금으로 재테크 하면
 
수익률이 더 좋다는 거 아시죠?
 
혹시 방법이 궁금하시면
 
아래 포스트를 참고하세요.
 
https://dotsnlines.tistory.com/1127

 

연금저축으로 파이어 가능할까?

F.I.R.E.(Financial Indefendence Retire Early)몇 년 전 YOLO(You Only Live Once)의 유행이 있었습니다. 인생은 한 번  뿐이니 즐기면서 살자는 얘기인데, 결국 젊음은 오래가지 못하고 누구나 경제적 문제에 부딪

dotsnlines.tistory.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