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실'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손실7

퀀트투자 - 매년 초에 투자해서 매년 말까지 수익률 Test 2022.09.21 - [취미로 하는 파이썬/투자 실험실 with 파이썬] - 퀀트투자 - 통계적인 관점에서 백테스트 수익률 분석 퀀트투자 - 통계적인 관점에서 백테스트 수익률 분석 예전에 저PBR 과 저DPS 조합으로 퀀트투자 백테스트를 한 적이 있다. 저PBR X 저DBS 조합 퀀트투자 백테스트 그 당시에는 모든 것이 완벽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바로 실행해 보았다. 막상 실제로 투자 dotsnlines.tistory.com 위와 같이 지난번에 pykrx를 가지고 매년 초에 투자해서 월별로 수익률을 구해보고, 최저값, 최고값을 구해 보았다. 매월 1번만 수익률을 구했기에 매일 종가로 수익률을 구하면 값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했다. 그래서 DB에 영업일의 모든 Data를 다운로드 해서 저장했고, 일별로 1년.. 2022. 10. 24.
[독서후기] 부자의 그릇 (이즈미 마사토) 책 제목이 너무나 마음에 들었다. 모든 사람은 자기의 그릇만큼 돈을 가지고 있다는 얘기다. 굳이 읽지 않더라도, 책의 요점은 그게 다다. 소설 형식으로 쓰여져 있어서 무리없이 쉽게 읽혀진다. 주인공은 주먹밥 가게를 운영 하다가 실패하고, 돈도 희망도 없이 살아가고 있다. 자판기에서 밀크티 한 잔을 뽑아 먹으려 하다가 100원이 부족했는데, 우연히 조커라는 노인을 만나게 되고 100원을 빌린 주인공은 노인네의 잔소리를 듣게된다. 노인은 주인공이 은행을 다니다가 그만두고, 주먹밥 가게 사업을 하게된 계기와 성공을 했다가 실패한 사연을 듣는다. 그리고 주인공이 돈에 사로 잡혀서 중요한 것을 못 보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 준다. 이혼을 하고 아픈 딸 아이가 있는 주인공은 결국 노인의 도움으로 스스로의 잘못을.. 2022. 9. 14.
파이썬 퀀트투자 쉽게하기 - 2 사람의 두뇌는 투자에 실패하도록 설계되었다. 사람의 두뇌가 투자에 적합하지 않다는 주제의 책들은 차고 넘쳐납니다. 혹시 모르실 분들을 위해 제 경험을 빗대어서 우리의 두뇌가 얼마나 투자에 부적합한지를 적어보려고 합니다. 1. 비일관성 광고 중에 "배고플 때 너는 네가 아니야" 라는 광고 대사가 있습니다. 사람들은 배고플때 올바른 판단을 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허기가 질 때 외에도 시간이 촉박하거나, 정서적으로 안정되지 못 할때 올바른 판단을 내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투자를 할 때는 일관적인 방법으로 해야 합니다. 오늘 기분이 좋아서 주식을 사고, 내일은 기분이 나빠서 시장에 내다 판다면 만족할 만한 수익을 얻기란 힘이 듭니다. 2. 직관체계 행동경제학으로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데일 카너먼 교소는 우리뇌에 두 가지 시스템이 있다고 합니다. 하나는.. 2021. 11. 22.
퀀트투자 백테스트 - 저 PER 20종목 (All Market, 거래량 0이상) 본 포스트는 퀀트투자를 위한 개인적인 백테스트 기록이며, 테스트 과정이 올바르게 진행되었다는 어떠한 증명도 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본 포스트를 참고하셔서 투자를 하는 행위는 삼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퀀트투자 백테스트를 진행하면 할 수록 오류를 찾게된다. 저 PER 조건으로 백테스트를 여러차례 진행하면서 개선된 사항을 기록으로 남기려고 한다. PBR이 낮은 순으로 정렬을 한 다음 순위를 매겨서 20 종목만 투자를 하는 테스트이다. 17년 동안 투자를 하며, 매월 4일에 리밸런싱하는 조건이다. 퀀트책을 읽다보면 저 PER 로 투자를 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그 책에서는 어떻게 투자를 했는지 모르겠지만, 내가 직접 테스트 한 결과만 봐서는 좋은 투자법이 아닌 것 같다. 5월이 가장 수익률이 높.. 2021. 11. 11.
퀀트투자 백테스트 - 저 PBR 투자 수익률 본 포스트는 퀀트투자를 위한 개인적인 백테스트 기록이며, 테스트 과정이 올바르게 진행되었다는 어떠한 증명도 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본 포스트를 참고하셔서 투자를 하는 행위는 삼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재무데이터 구하기 너무 어렵다. 공짜로 얻으려고 하니 더욱 구하기가 어려운 것 같다. 네이버금융에서 크롤링을 해봤자 5년치 정도 밖에 안되고, DART는 그나마 2012년부터 제공이 되는것 같지만, 전 종목을 구하는데 시간도 오래걸리고 데이터 전처리도 필요할 것 같다. 시간이 날때 fnguide에 돈을 주고 다운로드 받을까 하는데, 예전에 가입해 논 비번을 까먹었다. 이메일도 어떤걸로 등록했는지 기억이 나질 않는다. 퀀트킹과 젠포트가 유명하던데 돈 주고 이용할까 생각도 했지만, 백테스는 작은 조건에 의.. 2021. 10. 26.
<주식낙법 25> 주식투자에서 손실을 줄이는 4가지 방법 주식투자에서 손실을 줄이는 4가지 방법입니다. 1. 분산투자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마코위츠의 '포트폴리오 이론'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여러 종목에 분산된 종목의 집합 즉,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집합적인 종목들의 평균적인 수익률을 얻으면서 위험은 분산투자 전보다 더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어떤 개별 주식에 대한 '확실한 정보나 예측'이 부재한 상황에서는 최대한 많은 주식에 골고루 분산함으로써 손실은 감소시키면서 다수 종목의 평균적인 수익은 따라잡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 개인이 여러종목을 구성하기란 어렵습니다. 이런 배경으로 출현한 것이 ETF입니다. 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상장지수펀드'라고 합니다. 일반 펀드는 높은 수수료에다 펀드매니저의 리스크가 있습니.. 2020. 11. 12.
<주식낙법 24> 손실관리가 중요한 이유 주식투자는 손실관리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왜 손실관리가 중요할까요? 예를들어 100만원을 투자를 해서 30% 주가가 올랐습니다. 하지만, 다시 30% 주가가 떨어지면 투자금은 어떻게 될까요? 산술적으로 생각하면 본전이라고 착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금은 91만원으로 줄어서 9%의 손실을 보게 됩니다. 반대로 30% 손실을 보고나서 다시 주가가 30% 오르면 얼마일까요? 9%를 손해 본 91만원 입니다. 결국, 원금에서 손실을 복구하기 위한 수익의 수준은 손실의 수준보다 훨씬 커야 합니다. 1% 손실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1%만 수익이 나면 되겠지만, 50% 손실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100%의 수익이 나야하며, 95%의 손실이 발생하면 1,900%의 수익이 나야합니다. 이를 "손실의 비대칭성 원리"라고.. 2020. 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