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3월, 영국의 대표 대중매체 <이코노미스트>는 '포노 사피엔스'의 시대가 도래했다는 내용을 실은 표지 기사 '스마트폰의 행성'을 게재했습니다. 기사는 '스마트폰 없이 살 수 없는 새로운 인류 문명의 시대'가 왔음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문명을 이용하는 신인류, 포노 사피엔스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시공간의 제약 없이 소통할 수 있고 정보 전달이 빨라져 정보 격차가 점차 해소되는 등 편리한 생활을 하게 되면서, 스마트폰 없이 생활하는 것이 힘들어지는 사람이 늘어나며 등장한 용어다. 영국의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지혜가 있는 인간'이라는 의미의 호모 사피엔스에 빗대어 포노 사피엔스(지혜가 있는 폰을 쓰는 인간)라고 부른 데서 나왔다."
포노 사피엔스라는 새로운 명칭이 나올 만큼 스마트폰의 등장은 인류를 급격히 변화시켰습니다. 2007년, 아이폰iphone이 처음 출시되었을 때만 해도 이런 변화가 닥칠 거라 예측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죠. 스티브 잡스 조차 이런 엄청난 속도의 벼노하를 예상하지 못했을 겁니다. '이이폰'이라는 이름으로 세상에 나온 스마튼폰은 지난 10년 사이, 전 인류의 생활에 가히 '혁명'이라 부를 만한 변화를 불러온 도구가 되었습니다.
'혁명'이라 함은 큰 변화가 일어 났을 때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아이폰이 세상에 나오고 나서 우리의 생활은 많은 부분이 바뀌었습니다. 지하철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에 얼굴을 묻고 있는 것은 말할나위도 없고, 은행, 독서, 주식, 음식 등 우리의 생활의 모든 분야가 스마트폰과 더이상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어 버렸습니다.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에서는 인류의 발생부터 현재까지 과정을 설명한 것이라면, 이 책 '포노사피엔스'는 2010년 즈음 부터 '스마트 폰'이 우리의 신체 일부가 되기 시작한 인류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우리의 상식이 가장 잘 드러나는 분야는 바로 교육입니다. 교육에 관한 상식을 보면 디지털 문명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읽어볼 수 있습니다. 우리 사회는 아이들 교육에서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문명을 지나치게 배제합니다. 가장 좋은 교육은 수능 보기 전까지 스마트폰을 못 쓰게 하는 것이라고까지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암기교육, 객관식 문제풀이 교육에 매달립니다.
스마트폰도 못 쓰게 하고 유튜브도 못 보게 하고,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도 못 하게 합니다. 마약처럼 취급되는 게임은 절대 '접근금지'입니다. 그래서 열심히 암기 위주의 공부를 하면 좋은 대학에 들어갑니다. 그렇게 대학에 가서도 어른들이 정해놓은 틀 안에서 공부하며 포노 사피엔스 문명에 대해 저급한 문명이라고 폄하합니다. 이후 모두가 좋다고 하는 스펙을 가지고 대학을 졸업합니다.
그런데 말이죠, 안타깝게도 이렇게 만들어진 인재는 세계 7대 기업에 입사할 수 없습니다. 포노 사피엔스 시대의 문명을 모르는 사람을 뽑을리가 없기 때문입니다.
자본 기준으로 세계 1위 회사는 애플입니다. 2위는 아마존이고요. 그 뒤로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순입니다. 모두 미국 회사입니다. 6위와 7위는 중국 이업인 알리바바와 테센트입니다. 한국에는 10위권에 삼성전자만 들어갔습니다.(책에서는 2019년 기준으로 적혀진 것 같습니다.)
코스닥과 코스피를 합치면 시가총액이 2천조원 정도 됩니다. 하지만 세계 7대 기업의 시가 총액은 그 두배가 넘는 5천조원 가량이 됩니다.
우리나라에서 암기 위주의 공부를 정말 열심히 하고 드라마 스카이캐슬에서 처럼 고가의 선생님이 지도해 주셔도 결국 세계 7대 기업에 입사를 하지 못합니다. 세상은 바뀌는데 기성세대들은 변화하려 하지 않고 있습니다.
제가 다니는 회사는 상당히 보수적입니다. 하지만 세상이 바뀌고 있기에 효율적이 업무를 위해서 디지털시스템 도입은 피할수 없는 흐름이 되었죠. 그런데 직원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습니다. 종이로 쓰는 작업을 컴퓨터로 대체하고, 한달이 걸릴일을 단 몇 분안에 줄이겠다는게 뭐그리 반대할 일인지 저는 이해가 어렵네요.
이 책에서 베이붐세대와 X세대에 대해서 얘기를 합니다. 불모지였던 우리나라를 이렇게 성장시킨 주역이었고, 본인들이 규칙이고 법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입니다. 그 분들의 노력과 성과는 인정하지만, 세상이 바뀌었습니다. 구한말처럼 대륙의 문물을 막기만 한다고 흐름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습니다. 오히려 역효과만 일어날 뿐입니다.
비단 베이비붐 세대나 X세대 뿐만 아니라 밀레니얼세대인 제 또래 조차 예전 기성세대와 생각방식에서 많이 달라진 점이 없는 것 같습니다. 여전히 아이들에게 암기 위주의 공부를 시키며, 되도록 휴대폰이나 게임을 멀리하게 끔 잔소리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머리는 똑똑하나 창의성은 똑똑한 머리를 따라 가지는 못하는 것 같습니다. 대부분 남이 하던대로만 하려고 하고, 뭔가 새로운 것이 나오면 겁을 먼저 내거나 배척하려고 노력 합니다.
인구도 점점 줄고있는 대한민국의 현실에서 우리 아이들에게 좀 더 밝은 미래를 주기 위해서는 교육에 관한 많은 혁신이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1800년대 산업화 과정에서 공장 노동자를 가르치기 위한 교육을 여전히 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니 답답하니 그지없네요. 하지만, 이런 현실을 저 역시도 피해 가기에는 두려움이 있습니다. 어려운 숙제 같습니다.
우리의 문명 시계는 1980년대에 멈춰선 듯합니다. 기존 시장의 절대강자인 대기업들과 근로자, 약소기업 간의 불평등을 빌미로 정치권의 패권 다툼이 극에 달해 있습니다. 좌파든 우파든 정치인들은 이 땅에서 장사하려면 소비자가 아니라 정치권력에 잘 보여야 한다는 구시대적 사고를 유지하기에 여념이 없습니다.
그동안 몇몇 기업들이 권력에 잘 보여 부당한 이득을 취했으니 이젠 권력의 힘으로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 잡겠다는 이야기를 합니다.
여전히 중심은 정치이고 권력입니다. 그래서 화두가 되는 경제 정책을 보면 대기업의 계열사 매각, 중소기업과의 이익공유제, 최저임금 50퍼센트 인상, 주52시간 근무 제한, 소득주도성장 등 온통 정치권력을 이용해 시장을 이념적으로 컨트롤 하겠다는 이야기 뿐입니다. 헉명 시대의 창조전략이 한 마디도 없습니다.
이 말이 우리의 현실이고, 우리나라의 위기인 것 같습니다. 몇 년전 차량공유서비스 대표가 택시노조의 소송에서 져서 구속되는 뉴스를 보았습니다. 우리나라를 제외한 미국, 중국, 동남아, 남미 등은 이미 차량공유서비스가 보편화 되어 있습니다. 구한말 처럼 아무리 척화비를 세워봤자 결국 흐름은 벗어날 수 없고, 오히려 역효과만 일어나리라 봅니다.
저 또한 회사를 다니면서 느낀 부분 중 하나가 '우리나라는 너무 많은 규제가 있다.'라는 점입니다. 무슨 사업을 하던지 기득권이 만든 진입장벽을 넘어서야 할 뿐만 아니라 각종 인허가라던지 환경규제를 다 충족해야 합니다. 이 부분에서 너무나 많은 노력과 시간이 낭비됩니다. 당연히 어느정도 규제는 필요하겠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 너무 많은 규제가 우리나라 기업을 옭아매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축소 시키는 건 아닌지 하는 걱정이 듭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리뷰 >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후기 - 나는 카지노에서 투자를 배웠다. (0) | 2021.08.13 |
---|---|
원시인도 1년에 책을 100권 읽을 수 있는 방법 (0) | 2021.08.12 |
무기력하고 짜증만 내는 당신은 마녀체력이 필요합니다. (0) | 2021.07.17 |
독서후기 - 불황에도 승리하는 사와카미 투자법 (0) | 2021.07.15 |
[독서후기] 경성탐정사무소(1~5권) : 가볍지만 최고의 탐정&로맨스 소설 (0) | 2021.07.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