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금리는 채권을 발행할 때, 국채 대비 발행회사의 신용위험에 대한 보상차원에서 추가금리를 더해 발행한 금리입니다. 그래서 신용등급이 낮을수록 가산금리가 커집니다.(신용이 낮을수록 대출금리가 비싸지는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
이론적으로 가산금리는 국채 대비 개별회사 위험에 대한 보상으로 사용되어 위험프리미엄(Risk Premium) 성격으로 정의되지만, 실제 전문가들에게 가산금리는 채권시장에서 인지되는 시장위험(Risk Perception)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일반투자자에게는 시장리스크(Market RisK)로 해석됩니다.
- 경기상황이 악화되면, 시장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가산금리가 확대
- 경기상황이 개선되면, 시장위험이 감소하기 때문에 가산금리가 축소
동일한 경제상황에서 국채금리와 가산금리는 반대 방향으로 작동됩니다. 일반적으로 경기가 안 좋으면 국채금리는 하락하는 반면, 가산금리는 채권시장에서 시장위험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오히려 금리가 상승하게 됩니다. 반대로 경기가 양호한 상황에서는 인플레이션 우려 때문에 국채금리는 상승하는 반면, 시장리스크를 반영하는 가산금리는 축소됩니다.
신용 가산금리(Credit Spread)는 투자자에게 경제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개별회사의 수익성 개선과 낮아지는 부도율은 경제가 개선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이것은 투자자들이 회사채권을 좀 더 긍정적으로 보게하고, 이는 다신 신용 가산금리(Credit Spread)가 축소되는 결과를 만듭니다.
게다가 경제가 회복되면 연준리가 이자율을 인상해 인플레이션 압력을 제거하려고 합니다. 연준리 금리인상은 결국 국채금리 상승을 유발하게 되며, 동시에 신용금리는 감소하게 됩니다. 경기가 침체되면 이와 반대로(국채금리 하락과 신용 가산금리 상승) 작동 됩니다.
채권투자자들은 거시경제의 변화를 예측하려고 하는데, 이로 인해 신용가산금리는 실물경제보다 먼저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경제보다 선행하는 것입니다. 위의 하일일드 가산금리 추이를 보면 항상 경기위험 구간에 진입하기 전에 가산금리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코로나로 인한 경기침체시는 침체와 동시에 증가하였습니다.)
리먼브라더스 사태 전 주가 고점은 2007년 10월이었으나, 시장위험 지표인 가산금리는 5개월 빠른 2007년 5월에 최저점을 기록하고 그 이후 가산금리가 급격히 확대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즉 2007년 5월부터 주식 고점 전에 이미 채권시장에서 바라 본 시장위험은 급격하게 상승한 것입니다. 당시 대다수 신문에서는 주식이 계속 상승할 것이라고 보도해, 결과적으로 많은 투자자들이 손해를 보게 되었습니다.
- 단기조정 와도 상승추세 흔들림 없다(머니투데이, 2007.10.31) - 국내 주식형 펀드 "지금 투자해도 안 늦다"(서울경제, 2007.10.31) - 신흥시장 과열이지만 한국은 더 오른다(머니투데이, 2007.10.31) |
만약, 그 당시 주식을 했던 투자자들이 채권시장의 위험지표인 가산금리가 그해 5월 이후 급격히 확대되는 것을 보았다면, 무리한 주식투자를 피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과거 두 차례 경기침체 때 하일이드 가산금리가 항상 주식 최저점보다 3~6개월가량 선행했습니다. 2002년 10월에 미국 하일이드 가산금리가 가장 확대되었으나, 주가저점은 이듬해 2003년 3월이었습니다. 또한 2008년 리먼브라더스 사태 때도 가산금리는 이듬해 2009년 2~3월경이었습니다. 주가 저점에서도 항상 채권 가산금리가 주가지수보다 선행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 채권투자 핵심 노하우(마경환 지음)
fred.stlouisfed.org/series/BAMLH0A0HYM2
'돈을 벌기 위한 자료 > 생활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낙법 24> 손실관리가 중요한 이유 (0) | 2020.11.11 |
---|---|
<주식낙법 23> 세계 경제정보 사이트 모음(거시경제 지표) (0) | 2020.11.10 |
<주식낙법 21> 폭락장을 피하는 경기선행지표 - 장단기금리 역전현상(10yr-2yr 미국국채) (2) | 2020.11.07 |
<주식낙법 20> 폭락장을 피하는 경기선행지표 - TED 스프레드 (0) | 2020.11.06 |
<주식낙법 19> 왜 금리가 중요할까? (0) | 2020.1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