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 배당소득세가 부과되면
절세계좌는 의미가 없어질까요?
일반계좌가 오히려 더 나을까요?
이번 포스트에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배당소득세에 따른 수익률 차이
배당소득세가 부과되면
얼마나 손해를 보는지 살펴 보겠습니다.
가장 많이 투자하는 S&P500, 나스닥100, SCHD를
기준으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 배당소득세에 따른 미국배당다우존스 수익률 차이
구분 | 미국배당다우존스 | 나스닥100 | S&P500 |
배당소득세에 따른 자산감소율 | -11.2% | - 4% | - 6.7% |
1억원으로 투자한다고 가정하고
과거 10년 간의 연복리수익률을 적용해서
30년 동안의 수익률 차이를 살펴보았습니다.
차이가 가장 많이 나는 ETF는 SCHD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0년 후의 자산차이는 겨우 4.4억원입니다.
30년 투자치고 배당소득세에 따른
수익률 차이가 크지 않네요.
2. 일반계좌가 절세계좌 보다 더 나은가?
어차피 배당소득세에 따른 차이가 작으면
입출금이 편리한 일반계좌가
유리할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아닙니다.
일반계좌에서 미국주식을 투자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미국직구로 SCHD를 달러로 매수하는 방법과
타이거미국배당다우존스와 같이
국내상장해외ETF를 사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2가지의 일반계좌에서 투자하는 방법과
절세계좌인 연금저축에서 투자하는 방법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1억을 30년동안 투자하고 31년이 되는해에
전부 매도한 후 누적자산과 배당금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구분 | 연금저축 | 일반계좌 (국내상장해외ETF) | 일반계좌 (해외상장ETF) |
누적자산 | 4,204,695,474원 | 4,156,667,719원 | 4,169,915,750원 |
누적배당 | 920,057,953원 | 887,788,451원 | 892,014,325원 |
누적자산은 연금저축과 비교해서
일반계좌의 국내상장해외ETF는
4천8백만원 차이가 나고
해외상장ETF는 3천4백만원 차이가 납니다.
연금저축과 차이 | 일반계좌 (국내상장해외ETF) | 일반계좌 (해외상장ETF) |
누적자산 | 48,027,755원 | 34,779,724원 |
누적배당 | 32,269,484원 | 28,043,610원 |
누적배당금은 각각 3천2백만원과
2천8백만원이 차이가 납니다.
생각보다 차이가 크지 않네요.
그런데 ETF를 매도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3. ETF 매도시 계좌별 자산차이
매도시
국내상장해외ETF는 15.4% 배당소득세가 붙고,
2,000만원 초과시 종합소득세율이 적용됩니다.
해외상장ETF는 250만원 이상 차익에 대해서
22% 양도소득세가 부과됩니다.
매도시 각 계좌의 자산차이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구 분 | 연금저축 | 일반계좌 (국내상장해외ETF) | 일반계좌 (해외상장ETF) |
매도시 자산 (누적배당 포함) | 4,204,695,474원 | 2,297,107,245원 | 3,172,584,285원 |
차이 | 0원 | 1,907,588,229원 | 1,032,111,189원 |
자산을 매도했을 경우
연금저축과 일반계좌 간 차이가
최대 20억원이 나네요.
국내상장해외ETF는 매도시
배당소득세가 부과돼요.
차익이 2천만원이 넘으면
종합소득세가 적용이 되어서
세율이 올라갑니다.
이 외에 건보료까지 추가 되는거 아시죠?

혹시나 연금저축도 해지시 16.5%의
기타소득세가 붙는게 아니냐고
생각하시는 분들 계시나요?
그분들을 위해 직접 계산을 해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37억 6백만원으로 일반계좌보다
수익이 훨씬 더 좋습니다.
그런데 굳이 연금저축을
해지하는 사람은 없겠죠?
이번 포스트는
해외ETF 배당소득세가 부과될 때
일반계좌와 절세계좌의 수익률 차이를
살펴보았습니다.
배당소득세에도 불구하고
절세계좌에서 투자하면
최대 20억원의 절세효과를 볼 수 있네요.
화가 난다고
절세계좌 해지하지 마세요.
함께보면 좋은 포스트
2025.02.03 - [돈을 벌기 위한 자료/개인연금과 퇴직 그리고 절세] - 퇴직연금을 받으면 건보료가 올라갈까요?
퇴직연금을 받으면 건보료가 올라갈까요?
퇴직연금을 받을 때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건강보험료(건보료)입니다. 퇴직연금은 소득으로 간주될까요? 건보료에 영향을 미칠까요? 이번 글에서는 퇴직연금의 세금과 건
dotsnlines.tistory.com
'돈을 벌기 위한 자료 > 개인연금과 퇴직 그리고 절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소득세에 따른 미국배당다우존스 수익률 차이 (1) | 2025.02.24 |
---|---|
퇴직연금 위험자산 30%룰 폐지 (1) | 2025.02.23 |
퇴직연금 DC와 DB 중 어느 것이 더 좋을까? (1) | 2025.02.22 |
그럼에도 불구하고 절세통장!!! (ft. ISA 해외ETF 세제 혜택 축소) (1) | 2025.02.20 |
퇴직연금을 받으면 건보료가 올라갈까요? (1) | 2025.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