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받아도 건보료 안 내는 꿀팁 ft. 피부양자 자격
본문 바로가기
돈을 벌기 위한 자료/생활,경제, 재테크 정보

월세 받아도 건보료 안 내는 꿀팁 ft. 피부양자 자격

by 대충살아볼까 2025. 2. 18.


건강보험 기준은 어려워요.
 
임대소득이 있으면 피부양자가 
안 된다는 얘기도 있고,
된다는 사람도 있어요.
 
정확한 기준을 정리해 봤습니다.


 
 
사업소득이 있으면
건강보험피부양자 자격이 안돼요.
 
임대소득사업소득으로 보거든요.
 
그럼, 임대소득이 있으면,
건강보험피부양자 자격이 안 될까요?
 
아닙니다. 
 
피부양자가 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건강보험료는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건강보험직장가입자

◆ 건강보험지역가입자

 
 
직업이 없다면 건강보험 지역가입자가 됩니다.

지역가입자는 직장인보다 건보료가 더 많아요.

직장인근로소득건보료가 부과되고,
회사에서 반을 내주니깐 부담이 줄죠.

지역가입자는 100% 본인이 부담하고,
소득재산 둘 다 합산해서
건강보험료가 부과돼요.

대신 가족중에 직장을 다니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건강보험피부양자로 등재가 가능해요.

즉, 건보료를 따로 낼 필요가 없다는 얘기죠.

 

 

 

1. 건강보험 피부양자 조건


 
피부양자가 되기 위해서는
 
모든 소득을 합쳐서 연 2천만원 이하여만 해요.
 
사업소득은 1원도 있으면 안 돼요.
 
집도 과세표준 5억4천만원 이하여만 해요.
 
마지막으로 지계존비속 등 가족이어야 해요.
 

 
중요한 점은
임대소득은 사업소득으로 본다는 것입니다.
 
임대소득이 사업자 등록과 관계없이
1원이라도 있으면,
건강보험피부양자가 될 수 없어요.
 

출처 : 미래에셋투자와연급센터

 
 

2. 임대소득의 기준


그런데 임대소득의 기준이
우리 생각과 달라요.
 
예를들어 월세 30만원씩 받으면
임대소득이 얼마일까요?
 
임대소득은 0원입니다.
 
왜 그럴까요?
 
임대소득 경비 공제금액을 차감한
금액이기 때문이에요.

 
 

3. 월세 얼마까지 피부양자 등록이 가능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월세 33만원까지는
피부양자 등록이 가능합니다.
 
임대사업자도 가능해요.
월 83만원까지
피부양자가 될 수 있어요.
 
임대사업자는 필요경비를 60% ,
일반인은 50%까지 공제됩니다.
 
거기에다 기본공제를
임대사업자는 400만원
일반인은 200만원까지 받을 수 있어요.

  일반인 임대사업자
임대수익 400만원 1,000만원
(-)필요경비 200만원(50%) 600만원(60%)
(-)공제금액 200만원 400만원
(=)임대소득 0원 0원

 
 


이번 포스트는
 
"임대수익이 있어도 아들 직장으로
건강보험을 올릴 수 있다."는
사실을 정리했습니다.
 
많은 월세소득자 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임대소득 피부양자 자격조건

임대사업자월 83만원까지
일반인월 33만원까지
합산소득연 2천만원이하

 

 

 

  함께보면 좋은 포스트

 
2025.02.03 - [돈을 벌기 위한 자료/개인연금과 퇴직 그리고 절세] - 퇴직연금을 받으면 건보료가 올라갈까요?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