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리'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복리5

퀀트투자 백테스트 - 내가 찾은 전략 본 포스트는 퀀트투자를 위한 개인적인 백테스트 기록이며, 테스트 과정이 올바르게 진행되었다는 어떠한 증명도 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본 포스트를 참고하셔서 투자를 하는 행위는 삼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지난번 PER X PBR 콤보전략 백테스트는 CAGR이 괜찮은 수준이었지만, 최대손실이 너무커서 현실적인 투자방법으로 무리가 있었다. 여러 조건으로 백테스트를 진행하다가 괜찮은 조건을 찾았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 중간 과정에서 백테스트 한 결과를 일일이 포스트하기 너무 귀찮고, 시간낭비로 느껴져서 바로 결론 포스트를 작성했다. 17년간 투자시 78.76배의 누적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최대 손실도 -1%이다. 나도 믿기지 않아서 검증하는 테스트를 수 없이 진행했다. 하지만, 아직 오류.. 2021. 11. 17.
모든 주식을 소유하라(평점 8점)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한 마디로 이 책의 제목과 같습니다. 존 보글은 인덱스 펀드의 창시자이며, 세계 최대 인덱스펀드 운용사인 뱅가드 그룹을 설립했습니다. 본인의 투자에 대한 가치관을 이 책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느낌이 드네요. 아래의 우화는 '제1장'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저자인 존 보글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이 모두 담겨 있습니다. 옛날 옛적에... 고트락스라는 성(姓)을 쓰는 부유한 일가가 있었는데, 이들은 수대에 걸쳐 번창했다. 그들은 형제와 자매, 삼촌과 이모, 고모, 사촌이 수천명이나 되는 거대한 가문을 이뤘고 미국 내 주식을 전부 소유하며 남부럽지 않은 재력을 과시했다. 고트락스 가문은 주식의 형태로 소유한 수 천 개 기업이 매년 지급하는 배당금과 기업이 이뤄낸 수익과 성장을 통해 막대.. 2020. 12. 26.
재테크를 시작하려는 20대의 나에게 20대 신입사원 시절에 회사 선배들은 "업무능력을 키우는 것이 최고의 재테크다"라고 하셨습니다. 우리 부모님은 열심히 벌어서 저축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제 40대가 되어서 생각해보니 선배나 어른들이 말씀하신 방법으로는 경제적으로 여유롭게 살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예전으로 돌아가 20대의 제 자신에게 재테크에 대한 충고를 하고 싶네요. 1. 예금, 적금은 하지마라 가장 안전한 투자 방법은 예금, 적금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틀렸습니다. 시간이 지날 수록 인플레이션 때문에 실물가치는 올라가는 반면 돈의 가치는 떨어지고 있습니다. 1% 이자를 받으면서 내 돈은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동안 자기도 모르게 내 돈의 가치는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제가 20대로.. 2020. 11. 25.
주식투자 ETF로 시작하라(평점 10점) 이 책은 인터넷 카페와 블로그에서 System Trading으로 유명하신 'systrader79'님과 현직 펀드매니저이신 이성규 님이 콜라보로 쓴 책입니다. 자산이 늘어갈 수록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자산배분에 대한 책을 찾던 중에 우연히 이 책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저에게는 행운의 순간인 것 같습니다. 'systrader79'라는 분은 현직 의사(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로 경기도의 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고 계신다고 합니다. 2005년 시작한 투자에 실패를 맛보고 국내와 다양한 전문서적까지 섭렵하며, 고수의 경지에 이르게 되었다고 하시네요. 사실 저는 'systrader79'가 누군지 몰랐는데, 검색을 해 보니 System Trading 기법 쪽에서는 거의 신같은 존재 이시더라구요. 책의 시작은 주식의 손실.. 2020. 11. 13.
<주식 낙법 1> 왜 주식투자를 해야 할까요? 저는 주식을 시작한지 약 7~8년 정도 된 것 같습니다. 주식 입문기 시절 용돈을 모아 50만원으로 시작해서 3,000만원까지 불린 경험을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투자를 시작한건 작년부터 입니다. 사실 저는 수익율이 좋은편은 아닙니다. 몇 일만에 수십배의 수익율을 올리는 단타를 하는 방법을 모르고, 경제예측이나 폭등할 종목을 찍을 수 있는 능력도 없습니다. 더욱이 주가 차트를 볼 줄 모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식투자 관련 포스팅을 하는 이유는 낙법을 공유하기 위함입니다. 수 많은 투자서적을 읽고, 8년 정도의 경험을 하고나니 폭락장에서의 대응이나, 나쁜 주식을 가려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깨달았습니다. 저는 금융관련 업종에 종사하지도 않고, 전공도 금융이나 투자와는 거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배우고, .. 2020. 9.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