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트는 퀀트투자를 위한 개인적인 백테스트 기록이며, 테스트 과정이 올바르게 진행되었다는 어떠한 증명도 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본 포스트를 참고하셔서 투자를 하는 행위는 삼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퀀트투자 책을 보면 20개 또는 30개를 사서 매매하라고 한다.
저 PBR 같은 경우에는 20개 사는 것이 유리할까? 30개 사는 것이 유리할까?
"17년치 X 월별 X 2가지 조건" 이런 경우의 수를 다 해 보면 알지 않을까? 하루에 하나씩 분석 한다면 약 1년 3개월이면 다 계산하고 분석할 수 있겠다.
...죄송하다. 헛소리 했다.
다행히 파이썬으로 코드를 다 만들었다. 20분이면 결과가 예쁘게 엑셀파일에 출력이 된다.
저 PBR 순으로 오름차순 정렬을 한 뒤 월 별 20개 종목만 선정을 했다. 월 초에 매수해서 다음해 월 초에 매도하는 방식이다. 나는 4일자 기준으로 했다. 4일이 휴일이면 3일, 3일도 휴일이면 2일 이런식으로 날짜가 워킹데이에 맞춰서 자동으로 변경되는 방식으로 로직을 구성했다.
또한 백테스트를 하다 보니깐 주식수가 줄어드는 종목들이 보인다. 아무래도 감자가 이루어진 것 같다. 이런 주식들은 줄어든 주식수의 비율만큼 금액을 줄였다. 이런 주식들 대부분 손실처리가 되었다.(나름 보수적으로 테스트를 한 것이다.)
이 테스트에서는 거래정지가 된 종목들까지 제외하는 조건을 넣지는 못했다. 나중에 다른 조건에서 거래정지된 종목들을 제외해보니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20종목과 30종목의 결과는 위의 테이블과 같다.
평균은 30종목에 투자하는 것이 조금 더 높게 보여진다. 최대 수익률도 20종목은 3월에 25배 정도 되지만, 30 종목은 1월에 27배 정도로 나왔다.

그래프로 보면 좀 더 수월하다. 아무래도 30개 종목을 매매 하는 것이 전체적으로 투자수익이 좋아 보인다.
퀀트투자는 CAGR 이 중요하니, 이 부분도 살펴 보겠다.

CAGR 역시 30종목이 더 높게 나왔다. 30종목 평균은 20% 이며, 20종목의 18% 보다 약간 더 높게 나온것이다.
가장 높은 달은 20종목은 3월 30종목은 1월이다. 30종목은 1월 ~ 4월까지 모두 20종목보다 복리수익률이 높다.

그래프를 보면 5월과 8월을 제외하고는 30종목의 CAGR이 더 우세하다.
하지만, 폭락장에서 얼마나 많이 떨어지는지를 항상 염두해 두어야 한다. 아무리 수익률이 좋더라도 폭락장이 지하까지 떨어져 버리면 보통 사람들은 견디지 못하기 때문이다.
행복하려고 주식투자를 시작했는데, 이 것 때문에 불행해 진다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수익률만 봐서는 30종목을 매매하는 것이 정답이지만, 최대 손실의 평균은 30종목이 더 크다.

최대 손실율 차이가 크지는 않지만, 대체로 30종목의 손실이 더 크다. 7, 8월을 제외하고는 30종목이 최대 손실이 더 크다.
여기에서 고민이 많이 된다. 수익이 좀 줄더라도 손실을 줄이는 20 종목이 나은지, 아니면 High Risk High Return 으로 30종목으로 투자를 하는것이 나은지 결정이 쉽지 않을 것 같다.
나는 30종목을 매매 할 자신이 없을 것 같다. 그냥 좀 편하게 투자하기 위해 20종목을 고를 것 같다.
'파이썬(Python) > 퀀트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퀀트투자 백테스트 - 현실적인 백테스트 방법 - 1 (0) | 2021.11.03 |
---|---|
퀀트투자 백테스트 - 저 PBR 20종목 (All Market) (0) | 2021.11.01 |
퀀트투자 백테스트 - 저 PBR 투자 수익률 (0) | 2021.10.26 |
퀀트투자 백테스트 - 워런버핏이 사용하던 NCAV 투자법 파이썬 코드 (0) | 2021.10.24 |
퀀트투자 백테스트 - 워런버핏이 큰 돈을 번 NCAV 투자법 (0) | 2021.10.22 |
댓글